top of page

InsightLog

온톨로지,지능,AI

  • 작성자 사진: hello
    hello
  • 10월 13일
  • 1분 분량

팔란티어의 온톨로지가 왜 AI 혹은 지능과 연결이 되는지 질문을 하시는 경우들이 많아서 간단히 정리해봅니다.


(진리,지능) 우리는 '물은 100도에서 끓는 것'은 진리라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그 진리를 활용하는 것을 우리의 지능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런데, 실상을 들여다보면 그리 간단하지 않습니다.


(실체,현상) 물은 정확히 100도에서 끓지 않습니다. 온도가 89도만 되어도 기포가 나오고 끓기 시작하며, 92도, 97도에도 활발하게 기포가 나오고 끓는 현상이 생깁니다. (아래 동영상에 자세히 나옵니다)


(언어,기호) 즉, 실체(이 경우 자연)은 이분법으로 딱 끊어지지 않습니다. 연속적인 현상으로 드러나기도 하고, 더 복잡한 관계와 분포를 띄기도 합니다. 우리는 그 지점 어딘가를 지정해서 '끓는다'라고 부르고 그 명제를 진리라고 생각합니다.

(허상) 그런데, 위의 설명처럼 언어, 기호는 현실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합니다. 어딘가 임의의 선을 긋고 명칭을 부여하고 우리는 그걸 진리라고 생각합니다. 그렇게 배웠고 한번도 의심해본 적이 없습니다. 하지만 그 관계는 허약하고 임의의 지점에 선을 그은 언어는 어느 정도 진리일 수 있지만, 그 허약한 매핑 때문에 때로 현실을 잘못 이해할 수도 있습니다.


(언어와 기호에 기초한 진리)는 그래서 불확실한 부분이 많습니다. 언어와 수학같은 기호를 잘 다루는 것은 우리 지능의 한 측면입니다. 하지만,한편으로 현실을 잘 그리지 못하는 오래된 '언어와 기호'에 우리의 생각이 매여 있기도 합니다. 언어와 기호는 위대한 지능의 도구이지만, 인류의 거대한 매트릭스이자 우상이기도 합니다. 그리고 언어와 기호로 표현된 진리는 무언가를 놓치기도 하고 프레임에 갇혀 있기도 합니다.


(언어,DB,진리) 세상을 표준적으로 묘사한 언어, DB를 우리는 절대적 진리의 기초라고 믿고 싶어하지만. 그 기초는 생각만큼 절대적이 아니고 우리 생각과 지능의 구멍이 될 수도 있습니다.


(온톨로지에 기초한 지능) 그래서, LLM과 다르게 온톨로지에 기초한 지능은 우리의 언어(기호)를 메타적으로 다시 살펴볼 수 있어야 합니다. 그리고, 때로는 언어와 어휘를 버리거나,바꿀 수 있어야 합니다. 또한, 새로운 언어를 만들 수도 있어야 하고, 또 절대적으로 언어에 매여있지 않을 수도 있어야 합니다.


우리가 지금까지 믿었던 LLM 기반 지능과는 다른 지능을 얘기할 필요가 있습니다.



 
 

​주식회사 큐리온 코리아

Contact

E. hello@quryon.com

A.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 강남대로 502 서희빌딩 8층

© Copyright Quryon Korea Co.,Ltd 2024

  • Instagram
  • Facebook
  • 실
bottom of page